전체 글19 베어링 (7) 8.2 구름 베어링(rolling bearing) 구름 베어링은 궤도륜(race ring) 사이에 몇 개의 전동체(rolling body)(볼 및 롤러)를 넣고, 이 들 전동체가 서로 접촉하지 않도록 적당한 등간격으로 배치하기 위하여 리테이너(retainer) 를 끼운 구조를 가지며, 전동체에 의하여 미끄럼접촉을 구름접촉으로 바꾸어 마찰손실을 크게 감소시키기 위하여 사용된다. 구름 베어링은 전동체의 모양에 따라 볼 베어링(ball bearing)으로과 롤러 베어링(rolling bearing)으로 대별된다. 또 작용하중의 방향에 따라 레이디얼 베어링과 스러스트 베어링으 로 나뉘어지며, 레이디얼 베어링은 어느 정도의 스러스트 부하능력이 있으나, 스러스트 베 어링은 일반적으로 레이디얼 부하능력은 없다. 볼 .. 2023. 4. 3. 베어링 (6) 8.1.8 윤활제와 급유법 (1) 윤활제(lubricant) 접촉하는 2면 사이의 마찰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을 윤활제라 하며, 일반적으 로 액체형, 반액체형, 고체형이 있다. 액체형은 소위 기름(oil)이며 윤활유(lubricating oil)라 한다. 반액체형은 그리스(grease)이고, 고체형의 것으로는 흑연(graphite)이 있다. 베어링용으로는 주로 기름과 그리스가 사용된다. 기름은 일반적으로 광유이며, 원유의 정 제품이 사용되나 목적에 따라 여러 가지의 성질의 것이 시판되고 있으므로 적절히 선정하 여야 한다. 이에는 스핀들유, 기계유, 실린더유와 바셀린(vaseline) 등 다종다양하게 제조되 고 있다. 이 밖에 올리브유(olive oil), 피마자유(castor oil), 채종유 .. 2023. 4. 2. 베어링 (5) 4) 카드뮴 합금 Cd 98.6%, Ni 1.4%(또는 Cu와 Ag)의 합금으로서, 화이트 메탈보다 강도가 크며 고온 강도도 높다. 고하중의 내연기관의 베어링으로 사용된다. 5) 알루미늄 합금 일반적으로 다른 베어링 메탈에 비하여 가볍고, 길들임도 좋으며, 내마멸성이 크므로 고 속 고하중의 베어링용으로 사용되나, 마찰에 의하여 생기는 산화피막 때문에 축이 손상되 기 쉬운 결점이 있다. 6) 함유소결합금 분말야금에 의한 소결합금으로서 금속분말을 금형에 넣고 가열 가압하여 성형한 뒤에 윤 활유 속에 담가 입자 사이의 공간에 기름을 스며들게 한 것이다. 급유가 곤란한 베어링이 나 무급유형 베어링으로서 이용된다. 소결합금에는 Cu계와 Fe계가 있으며, Cu계(Cu 85~90% 에 흑연, Sn, Sb)는 고속저압.. 2023. 3. 31. 베어링 (4) 1) 주철 회주철은 Fe-C-Si의 3원 합금으로 펄라이트 또는 페라이트 바탕에 편상흑연이 석출된 조 직이다. 바탕질(matrix)은 비교적 굳기 때문에 마멸이나 충격에 잘 견디는 성질을 가지고 있으며, 흑연은 고체윤활제 역할을 하기 때문에 Fe계에서는 유일한 베어링 메탈로 오래전 부터 사용되어 오고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축재료로서는 대부분 강을 사용하며 강의 재 질과 바탕의 펄라이트와는 같은 구성이므로 고속에서는 녹아 붙기 쉬운 결점이 있다. 특히 흑연은 열전도가 나쁘기 때문에 주철 베어링은 고속에서는 사용하기 곤란하다. 또 바탕에 세멘타이트의 결정이 석출되었을 경우에는 이것이 매우 굳어 (담금질할 강보 다도 굳다) 축을 갉아먹을 우려가 있으나, 염가이므로 저속 저압용 베어링 메탈로서 널리 사용되고.. 2023. 3. 30. 베어링 (3) 8.1.6 미끄럼 베어링의 설계자료 실제의 미끄럼 베어링에서는 지금까지의 이론식만으로 설계계산을 할 수는 없다. 앞의 이론식은 완전윤활의 경우에 대한 것이며, 실제로는 시동 시 또는 회전 중의 축에서는 진 동이나 충격 등에 의하여 베어링과 축 사이에는 경계마찰 또는 고체마찰이 생기기 때문에 아직까지도 제1차 설계에서는 많은 경험치가 사용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미끄럼 베어링의 설계에서는 경험치를 기초로 하여, 축 및 저널의 충분한 강도와 강성을 갖도록, 베어링 압력 및 발열 계수 값이 어느 한계치를 넘지 않도록, 베어링 정수가 어느 한계치 이하가 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8.1.7 베어링 메탈 (1) 베어링 메탈의 모양 원주속도 및 하중이 작은 간단한 베어링에 있어서는 베어링 메탈 없이 몸체 자체가 .. 2023. 3. 28. 베어링 (2) (1) 고체마찰(solid friction) 이것은 건조마찰이라고도 하며, 안내면, 접촉면 사이에 윤활유의 공급이 없는 경우의 마 찰 상태이다. 그 상태는 재료의 탄성, 접촉면의 거칠기, 접촉 압력, 상대속도 등에 따라 변 화하므로 마찰계수도 이들의 영향을 받아, 아무리 매끄럽게 연마한 면이라도 그 값은 0.14~0.25 정도이며, 다른 마찰 상태에 비하여 그 값이 크다. 따라서 마찰저항이 가장 크 고 마멸, 발열을 일으키므로 베어링에는 절대로 존재해서는 안 될 마찰 상태이다. (2) 유체마찰(fluid friction) 이것은 접촉면 사이에 윤활유가 충분한 유막을 형성하여 접촉면이 서로 완전히 떨어져 있 는 경우의 마찰 상태이다. 따라서 이 마찰은 기름의 전단저항, 즉 기름의 점성(viscosity)에.. 2023. 3. 27. 이전 1 2 3 4 다음